1203(월) 이미지메이킹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누가 봐도 불합리하고 정당하지 못한 일인데도, 끝까지 합리적이라고 우기거나 정당하다고 믿는 사람들을 보게 되는데요. 

이런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 있지요?

 

사회적 전문용어로는 <돌아이>라고 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이런 현상을 <인지부조화>, 또는 <자기중심적 편견>이라고 합니다. 인지부조화에 대한 재미있는 사례가 있는데요. 

고위공직에 출마한 세 사람의 후보를 놓고, 학생들에게 누구를 뽑을 건지를 묻는 설문내용입니다.

- A 후보는, 젊어서부터 술, 담배, 마약을 했던 불량소년이었고, 숨겨둔 여자와 자식이 있었고, 다리가 불편해서 휠체어에 의존하고 있다. 

- B 후보는, 어려서부터 말썽꾸러기 낙제생이었고, 사관학교도 3수만에 들어갔고, 줄담배에 술고래고, 괴팍한 성격이어서 사람들이 가까이하기를 꺼린다. 

- C 후보는, 독실한 신자로 금욕주의자, 채식주의자 였고, 술 담배는 입에도 대지 않았고, 애국심이 강해서 전쟁에 나가 훈장을 받기도 했다. 

 

자, 학생들은 A, B, C 후보 중에서 누구를 뽑았을까요?

 

설문의 결과도 역시 C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는데요. 그런데 실제로 후보가 누구였냐면, A는 루스벨트였고, B는 처칠이었고, C는 히틀러였다는 겁니다. 

히틀러는 도덕적이고, 금욕적이고, 애국적이라는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뽑혔지만, 

이렇게 한두 가지 사실만으로 전체를 인식하는 오류를 범하는 일이 많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한 번 받아들이고 믿어버린 사안과 반대되는 증거가 나타나도, 그 증거를 부인하려고 한다는 겁니다. 

또 한 가지 실험사례가 있는데요. 거짓말을 하는 대가로 A그룹의 사람에게는 20달러를 주고, B그룹의 사람에게는 1달러를 주었다는 겁니다. 

누가 더 거짓말이 진실이라고 강조했을까 하는 실험이었는데요. 1달러를 받는 B그룹 사람들이었다는 겁니다.

 

1달러를 받고 거짓말을 한 사람들은, 적은 보상으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에, 차라리 진실을 바꾸는 편이 마음이 편했다는 겁니다. 

심리학자들은 사이비종교에 빠지는 사람들의 심리상태도 이러한 인지부조화 때문에 생긴 착각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렇게 자신을 속이는 <인지부조화>를 <자기 합리화>와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인지부조화가 <증상>이라면, 자기합리화는 <대응현상>이라는 겁니다. 

따라서 평상시에 <자기합리화>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전문가에게 <인지부조화> 상태를 점검해 보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관계적 이미지 메이킹의 첩경이라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