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오케스트라-한벽루소리산책6

다양한 악기들이 빚는 국악실내악의 밤 한벽루 소리산책 6- 국악실내악단 한음사이 2003. 1. 18(토) ~ 19(일) 오후7시30분 전주전통문화센터 한벽극장 프 로 그 램 출 연 진 변주를 위한 “대풍류 중 자즌허튼 타령과 당악” 대금 조용오, 신디 안은정, 타악 권형준 마지막선물 피리 유승열, 신디 안은정, 타악 권형준 Besame mucho / The feelings 피리 유승열, 신디 안은정, 타악 권형준 아침의 소리 피리 정준호, 타악 장인선, 권형준 타악 solo & 신뱃놀이 전 단원 << 한음사이 소개 >> 1994년에 창단 된 국악 실내악단인 한음사이는 한국음악을 사랑하는 이들의 모임으로, 서양음악과 교류를 통하여 새로운 연주법을 개발, 발전시켜 대중에게 새로운 연주를 들려주고, 국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해 미래의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는 데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함께하는 자리가 되 길 빌며 끝으로 금번 공연에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전하며 초대합니다. ․ 1994년 한음사이 창단 ․ 한음사이 정기연주회 5회 ․ 전북작곡가회 작곡 발표회 4회 ․ 문화저널 주최 ‘뜨락음악회’ 공연 5회 ․ 1996년 카톨릭 성가 ‘미사곡’ 및 중앙성당 부활절 행사 공연 노래패 소리꽃 ‘돈돌라리’ 공동공연 동학100주년 기념탐방 KBS FM라디오 콘서트 참가 원불교 ‘성가의 밤’ 공연 ․ 1997년 전북지역 6개 중등교육기관 청소년 국악교실 공연 공주 백제문화제 및 전북 도민의 날 전야제 초청공연 대한민국 작곡 수상작품 ‘만장기’공연 ․ 1998년 제1회 여성문화제(전북여성운동 10년 기념)초청공연. 조재수와 함께하는 음악여행 작곡발표회 연주. 국립국악원주최 ‘목요연주회’ 예악당 공연. ․ 2000년 김제 지평선축제 초청 공연 전주 월드컵경기장 개장 축하공연 “하늘잡고 별을따세” ․ 2002년 중앙문화재단 초청공연 “ 한음사이 국악실내악 ” 2002월드컵다이나믹코리아 문화축전 공연 불우이웃돕기모금 송년의 밤 작은음악회 단원소개 피 리 정준호(전주시립국악단 단원) 대금/소금 조용오(전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단원) 거문고/신디 안은정(전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단원) 해 금 이승연(전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단원) 가 야 금 백은선(전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단원) 타 악 장인선(전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단원) 객원단원 타 악 권형준 가야금 조보연(전북도립국악원 관현악단 단원) 대표 유승열 ․ 1972년 서울 출생 ․ 전북대 한국음악학과 졸업 ․ 김재영, 한상일, 송선원 선생 사사 ․ 정읍시립정읍사국악단 단원 역임 ․ 현재 전주시립국악단 수석단원 국악실내악단 한음사이 대표 << 프로그램 >> 변주를 위한 “대풍류 중 자즌허튼 타령과 당악” (편곡 최상화,윤효상) 대풍류라 함은 관악기가 주를 이루어 연주하는 곡 형태를 일컫는다. 흔히 느린 긴 염불에서 빠른 당악까지의 연주를 완주하는 형태로 보고 있는데 전통 음악 어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음악 구성 형태로 바꿔 보고자 한다. 대금 조용오, 신디 안은정, 타악 권형준 마지막선물 (작곡 이경섭) 이곡의 주선율을 담당하는 찰현악기인 해금은 다양하고 변화무쌍한 표현을 자아낼 수 있는 전통 악기 중 가장 으뜸일 것이다. 가슴 깊이 저미는 애절함을 ,때로는 해학적이고 아기자기하며 점차 신명이 넘쳐 경지에 이르기도 하는 온갖 감정을 폭넓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 해금의 특징이다...이 곡은 많은 다양한 곡들 중에서 애절함을 아련히 표현한 곡으로 중반부에 해금의 연주가 돋보이도록 하여 정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Besame mucho / The feelings 저음악기인 대피리를 이용하여 신디와 주고 받는 형식으로 원곡을 편곡하여 미세한 기교가 넘치며, 격의 없는 어울림은 흥겨운 소리처럼 음향이 넉넉하다 피리 유승열, 신디 안은정, 타악 권형준 아침의소리 (작곡 공명) 타악의 다양한 리듬 안에서 북소리와 피리와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듯한 곡으로 다양한 북소리와 피리에 독특한 음색과 주법을 최대한으로 살려 작곡된 곡이다. 피리 정준호, 타악 장인선, 권형준 타악 solo & 신뱃놀이 타악기와 드럼의 현란한 리듬과 리듬의 유희를 위한 놀이격 음악으로 전통음악 속에서 흥과 신명을 일으키는 요소인 장단을 현대적 감각을 정형화시켜 그 위에 경기 뱃노래의 선율을 차용한 곡이다. 리듬구조에 있어 굿거리의 중심박을 6박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리듬들이 하나의 통일된 틀거리 리듬 안에서 놀이하게끔 의도한 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