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악기들이 빚는 조화로운 우리 음악
한벽루 소리산책 10
이현(二絃)의 사랑
2003. 3. 8(토)~9(일) 오후 7시 30분
전주전통문화센터 한벽극장
․1998년 한국창작음악연구회 명연주시리즈 공연
․1999년 제45회 국립국악원 목요상설공연
․2000년 케이블 TV 아리랑 방송 출연
변종혁 제8회 해금독주회 협연
․2001년 광복기념 한인의 날 초청공연 (미국 덴버, 스프링스)
변종혁 제9회 해금독주회 협연
․2002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후원 ‘Canberra National Multicultural Festival’ 초청공연
변종혁 제10회 해금독주회 협연
․이현의 사랑 1집, 2집 제작 (서울음반)
․이현의 사랑 3집 발매중
도드리
도드리는 보허자(步虛子)에서 파생하여 향악화된 곡으로, 1장단 10박으로 된 보허자의 반복 부분, 즉 도드리 이하를 1장단 6박자로 변주한 것이다. 서로 한 옥타브 변조 관계에 있는 밑도드리와 웃도드리는 각 장(章)의 구분이나 음계는 같으나 합주할 때에는 서로 음계가 엇갈리어 묘한 분위기를 자아내게 한다. 또한 알맞은 중용이나 장단은 매우 박력이 있고 가락은 순탄하면서도 활발하다.
밑도드리(壽延長之曲) 변종혁 김주리 명인경 박남현 노예리 장문정
웃도드리(頌九如之曲) 노은아 변지윤 황세림 박혜진 김경은 김성연
장고 김미영
아리랑 모음곡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이자 가장 널리 애창되는 곡 중의 하나이다. 언제부터 불리기 시작하였는지 확실치는 않으나, 고대로부터 조금씩 첨가․개조되면서 오늘의 노래가 이루어진 듯하다. 기본 장단은 세마치장단으로 우리의 정서에 알맞고, 내용도 한말(韓末)에서 일제강점기 동안 우리 민족의 비분을 표백(表白)한 것으로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 별조(別調)아리랑이 불리며, 장단과 사설(辭說)도 매우 다양하다.
옛날 옛적에 가난한 집에 살던
쥐 한 가족이 너무너무 배가 고파
부잣집으로 이사 갔데
배불리 먹고 장난만 치던 아빠 쥐는
더 맛난 음식을 먹고 싶어
부엌 밑에 구멍을 뚫었지
천둥 같은 사람 소리에 놀라
가난한 집으로 쫓겨나온 쥐 가족은
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밤낮 없이 힘써 일하면서도
쥐구멍은 다시, 다시는 기웃하지 않았데
쥐구멍에 볕들었어도
서용석류 해금산조 제주
서용석류 해금산조는 남도적 음악 어법인 판소리 더늠을 바탕으로 구성된 산조이다. 장단은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악장에서는 조의 진행이 변화 있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서용석의 풍부한 남도음악의 이해와 아기자기한 음악 구성력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해금 협주를 위한 해금 합주곡 가을비가 첫눈 되어 (작곡 김성경)
가을비가 첫눈 되어 내리는 날
설레임…
살갗에 가벼운 소름이 일고
그리움…
뜨거운 물 한 잔 감싸주면
훈김에 녹아드는 가버린 세월
1악장 : 한운 (寒雲 차가운 구름)
2악장 : 낙우 (落雨 떨어지는 비)
3악장 : 산설 (散雪 흩어지는 눈)
대표 변종혁 (+ 사진)
․1961년 전주 출생
․서울대 국악과 졸업
․한양대 대학원 졸업
․변종혁 해금독주회 10회
․미국, 호주, 일본, 이태리 등 독주 및 협연
․국립국악원, 서울시립국악단, 경기도립국악단, 전주시립국악단 등 다수 협연
․국립국악원 단원 역임
․우석대, 경원대, 전남대 강사 역임
․현재 이현의 사랑 대표
성균관대 유학과 박사과정
서울대, 수원대, 추계예술대, 한양대 강사
한국창작음악연구회 회원
해금연구회 회원
단원
김경은 김미영 김성연 김주리 노예리 노은아
명인경 박남현 박혜진 변지윤 장문정 황세림
일반 5,000원 / 학생 3,000원
전통음식관 한벽루 이용고객에게는 20% 할인된 공연관람우대권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