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MBC 자료사진]
◀앵커▶
전주시가 1,200억 원을 들여 추진하겠다던 '정원산업 클러스터' 사업이 결국 무산됐습니다.
정원도시 전주의 상징처럼 발표됐던 이 사업은 부지 선정부터 예산 확보까지 모두 허술했고, 결국 사업 방향을 농업 클러스터로 바꾸며 사실상 정원산업 계획을 백지화했습니다.
이주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주시 도도동, 항공대 활주로 옆의 넓은 평지.
5년 전, 전주시는 이곳을 '정원산업 클러스터' 부지로 발표했습니다.
정원을 가꾸는 단계를 넘어 식물의 생산과 전시, 유통을 산업화하겠다는 대형 구상이었습니다.
'정원도시 전주'의 상징처럼 홍보됐지만, 이후 사업은 백지화됐습니다.
[전주시 관계자]
"정원산업 클러스터로 가려면 국가 예산이라든가 대선 공약이 들어가야 되는데, 이게 농업 진흥구역이잖아요. 우리가 이걸 마음대로 풀 수가 없어요."
애초부터 부지가 농업진흥구역으로 묶여 있어 산업시설을 세우기 어렵다는 점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또한 인접한 항공대 이착륙 소음 탓에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관람할 수 없다는 점도 사업 추진의 걸림돌이었습니다.
게다가 국비 970억 원을 포함한 총 1,200억 원 규모의 사업이었지만, 국가 예산은 한 푼도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시는 지난해, 사업 방향을 전면 수정했습니다.
'정원산업 클러스터'는 사라지고, 대신 김치산업관과 농산물 가공센터, 푸드테크 단지 등 농업 중심의 ‘농업 클러스터’로 바뀌었습니다.
정원 산업 클러스터의 기초 연구를 맡았던 전문가는 "정원산업의 기반이 될 첫 거점을 잃은 셈"이라고 애석해합니다.
[권진욱 /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정원산업이 발전하려면 앵커 시설이 되는 클러스터가 만들어져야 하는데, 영세농이다 뭐 그런 얘기를 하면서 기반은 마련을 못 해주고 있잖아요."
입지 검토 없이, 확보되지 않은 예산 위에 세운 '공허했던 정책'은 결국 현실 앞에서 멈췄습니다.
전주시는 내년에도 정원박람회와 정원화 사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지만, '정원산업'이라는 목표는, 결국 공허한 선전 구호로만 남았습니다.
MBC뉴스 이주연입니다.
영상취재: 유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