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역의 뜨거운 감자였던 '전주·완주 통합'이 민선 8기에서는 사실상 무산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민선 8기 전북자치도와 전주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해왔지만, 결과적으로 지역 간 갈등과 행정력 낭비만 유발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김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범기 전주시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전주·완주 통합이 민선 8기에는 사실상 어려워졌음을 공식화했습니다.
"주민투표 실시를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특별법 제정과 행정적 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할 때, 민선 8기 임기 내엔 쉽지 않을 것 같다"며 "통합시 출범 목표는 2030년으로 옮겨질 수 밖에 없어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 7월 완주 군민을 현장에서 설득하겠다며 삼례로 주소지를 옮겼던 김관영 도지사도 다음 달 임대 계약이 만료되면 전주로 복귀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유의식 완주군의회 의장 / 지난 7월 당시]
"지금 도지사라는 사람이 쇼하고 다니십니까?"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 / 지난 7월 당시]
"의장님, 저랑 별도로 조용히 만납시다."
민선 8기에서 통합 논의가 사실상 중단되는 모양새인데, 정부 기류도 '보류' 쪽에 가까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완주의 반대 여론이 높은 것이 각종 조사에서 확인되고 있는 만큼 주민투표 등 후속 절차 진행이 무의미한 데다, 새 정부 첫 통합 시도가 부결될 경우 정치적 부담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그러나 행정안전부의 공식 발표가 여전히 나오지 않았고, 전북자치도와 전주시도 공식적으로는 매듭을 짓지 않고 있습니다.
민선 8기가 전주·완주 통합을 주요 이슈로 끌고오면서 행정력을 집중했던 데 비하면 초라한 결과가 아닐 수 없지만, 책임지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는 겁니다.
정책적 논의가 필요한 행정 통합 문제가 정치적 논쟁으로 변질되면서, 갈등이 증폭됐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하동현 교수 / 전북대 행정학과]
"자신의 견해를 줄이고 상대방의 견해를 받아들여야하는, 합의가 이뤄져야되는 상황이 '주민 수용성'이라는 측면인데, 이 '주민 수용성'이 상당히 낮은 채로 지역 갈등만 높아지는..."
과거 세 차례 무산됐던 경험과 최근 달라진 주민들의 인식을 고려할 때 애초부터 상당한 수준의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견됐던 전주·완주 통합.
그러나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보다는 정치적인 접근이 앞서면서, 결국 제대로 된 공론화에 실패한 채 또다시 갈등과 상처만 남길 공산이 커지고 있습니다.
MBC 뉴스 김아연입니다.
영상취재 : 김종민
그래픽 : 김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