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MBC 시사토론] 전주MBC 2025년 07월 20일](/uploads/contents/2025/07/adc362bfea356099b29f8545244377ff.png)
![[전주MBC 시사토론] 전주MBC 2025년 07월 20일](/uploads/contents/2025/07/adc362bfea356099b29f8545244377ff.png)
[전주 MBC 자료사진]
◀앵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된 첫째 주가 지나고 있습니다.
지역 경제에 마중물이 될 거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지급 과정에선 지급액이 적힌 실물카드를 둘러싼 '낙인 논란'도 있었고 전북도 예외가 아니었는데요.
현장 반응은 어떤지, 개선이 필요했던 부분은 또 어떻게 바뀌었는지,
조수영 기자가 담아 왔습니다.
◀리포트▶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 닷새째,
전주 시내 상인들의 말을 들어봤습니다.
[양헌수 / 음식점 운영]
"아직 체감을 못하고 있는 것 같아요. 1주차가 안 되다 보니까.. 다음 주가 돼 봐야 할 것 같다고 생각을 해요."
[김현애 / 음식점 운영]
"오시긴 했는데 많이 활용은 아직, 가게에서 덜 된 것 같아요."
물론 이번 주 소비쿠폰 신청은 불티나게 이뤄졌습니다.
[조수영 기자]
"전북에선 어제(24일)까지 90만 명이 넘게 소비쿠폰을 받아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급 대상자 가운데 벌써 절반 넘게 신청한 것입니다.
금액으로 보면 도내에 1,885억 원이 풀린 셈입니다.
72%가량은 온라인 신청으로, 나머지 28%는 읍면동 주민센터 등에서 실물카드 형태로 소비쿠폰을 수령해갔습니다.
논란도 있었습니다.
전북 역시 실물카드에 지급 금액을 표기해, 금액별로 누가 기초생활수급자이고 또 누가 차상위계층인지 사실상 노출한 꼴이 된 겁니다.
도내에선 14개 시·군 모든 지자체가 이렇게 약 19만 장 가량을 지급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낙인 효과에 대한 우려, 공급자 중심의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란 대통령의 질타까지,
급기야 지자체마다 스티커를 마련해 금액 표시를 가리느라 일은 더 복잡해졌습니다.
한편 내일(26일)부턴 소비쿠폰 온라인 신청이 요일에 상관없이 가능해집니다.
다만 주민센터 등을 통한 현장 신청에 적용되는 요일제는, 전주시에 대해서만 다음주까지로 연장됐습니다.
전북도는 이제 사용을 촉진할 홍보활동에도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영상취재: 유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