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올림픽 요건이 뭐길래?.. "분산 개최가 발목 잡아"
2025-09-29 195
전재웅기자
  rebear@jmbc.co.kr

[전주 MBC 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이처럼 하계 올림픽 유치 추진을 둘러싼 논란이 불거진 배경에는 당초 전주가 올림픽을 유치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너무 극명하다는, 좀처럼 끊이지 않는 지적이 있습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올림픽 개최가 국정과제에도 반영되지 않으면서 논란을 더 키웠는데요,


그동안 수면 아래 머물렀던 전북도와 지역 국회의원들간의 불협화음이 결국은 터져 나왔다는 분석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전재웅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문화체육관광부 입장문을 보면 전주 하계올림픽 추진 계획이 국제 올림픽위원회와 여전히 협의 단계라며 아직은 부적격 판단을 받은 것은 아니라고 돼있습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경기 시설과 숙박 시설이 열악한 전북의 상황을 두고, 추진이 쉽지 않다는 부정적 기류는 애초부터 예견된 문제였습니다. 


[문체부 관계자 (지난달)]

"전북에서 개최계획서가 와야지 코멘트(언급)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전북 현황과) IOC가 요구하는 격차가 매우 크긴 하죠. 그러면 개최계획서를 이제 어떻게 메울지."


IOC는 연인은 대규 적자 사태를 맞은 올림픽 개최지 선정과 관련해 최근 55개의 권고안을 잇따라 발표하고, 평가 지표로 활용해 왔습니다. 


올림픽의 지속 가능성과 신뢰성 회복, 선수의 경험 활성화 등 구체적인 내용이 담겼습니다.


전북의 계획 가운데 문제의 중심에 선 대목은  분산 개최 계획입니다.


전북도는 전남과 광주, 충청과 대구에 더해 최근에는 서울까지 연대 도시에 포함해 올림픽에 필요한 33개 시설 모두 기존 경기장을 활용한다는 저비용 올림픽을 공언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그간 분산 개최는 동계올림픽에서나 가능했을 뿐, 하계올림픽은 최근 열린 파리를 포함해 향후 미국 LA와 호주 브리즈번 등 인프라가 집중된 대도시 이외에 열린 경우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변수입니다. 


실질적으로 선수들이 지낼 선수촌 또한 경기장에서 1시간 또는 50km 이내에 있어야 하지만, 


분산 개최시 전국으로 갈라질 수밖에 없고, 경기장 배치가 압축적이어야 한다는 조건과도 배치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또, 손님을 맞을 숙박 시설도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관광객은 고사하고라도 IOC 관계자와 후원사 등 최소 4만 실 이상의 객실이 등급별로 필요하지만 전북의 호텔을 모두 끌어 모아 봐야 겨우 5,600실에 불과한 실정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전주올림픽에 대해 사전타당성 조사 이후 문체부의 심의를 거쳐 기재부 판단까지 국내 절차가 남아 있지만, 정부과 정치권에서 부정적 기류가 흘러 나오는 현실은 분명해 보입니다.


더구나 윤준병 의원의 발언은 빙산의 일각일 뿐 올림픽 유치를 두고 도지사와 도내 국회의원들간의 불협화음과 갈등도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었습니다. 


특히 정부 내부에서도 전주올림픽 유치 도전이자칫 과거 윤석열 정부의 부산 엑스포 유치 실패를 재연할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내 개최지 경합에서 서울을 따돌리며 '골리앗을 이긴 다윗'이라는 환호가 사드라들자마자 전주 올림픽 개최 도전이 좀더 냉정한 심판대에 오르고 있습니다.


MBC뉴스 전재웅입니다.


영상취재: 김종민

그래픽: 문현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