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목재칩 못하도록 권익위가 나섰다'..그래도 우후죽순
2023-11-21 3947
전재웅기자
  rebear@jmbc.co.kr

[전주MBC 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국민권익위가 주민 손을 들어주면서 군산에 추진되던 목재칩 공장 건립 계획이 백지화됐습니다. 


피해를 감안해 군산시가 부지를 아예 매입해 다른 용도로 쓰기로 조정한 건데요, 


하지만 관련 업체가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고, 지자체가 번번이 모두 사들일 수는 없는 상황이어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과제로 남았습니다. 


전재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목재칩 공장이 예정됐던 군산 성산면의 한 폐공장, 


주민들과 공장 관계자가 군산시의 현장 설명을 귀담아 듣습니다. 


농촌 공간 정비 사업을 통해 친환경 공간으로 거듭나도록 한다는 계획, 


4개월 간의 국민권익위 조정을 거쳐 군산시가 공장을 사들여 목재칩 공장 대신 다른 신활력 사업을 추진하게 된 겁니다. 


[김태규 /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보시다시피 인근에는 많은 마을들이 산재해 있습니다.. 조금씩 양보해서 원만한 해결에 이른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초 바이오매스가 활황세를 보이자 공장주는 벽돌 대신 한 해 10만 톤의 목재칩을 만들어 팔겠다며 군산시에 업종 변경을 신청했습니다. 


그러나 마을 한 가운데에서 나무 가루가 나오면  생활을 할 수 없다며 주민들이 반발했고, 결국 군산시가 부지와 건물을 매입하기로 한 겁니다. 


[임지원 / 주민대표]

"263일 동안 우리가 시청 앞에서 집회를 계속해 왔습니다. 조정안이 딱 나오고 나서 정말 편하게 잘 수 있었고.."


이처럼 권익위원회의 조정으로 이 마을은 눈꽃처럼 떨어지는 목재 가루의 습격에서 자유로워졌지만, 과제는 여전합니다. 


[전재웅 기자]

"목재를 부숴 제품을 만드는 업체가 5년 동안 2배 이상 늘었기 때문입니다."


5년 전 전북에 20곳에 불과했던 업체 수는 올해 상반기 2배 이상 늘어났는데, 특히 군산은 3곳에서 17곳으로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목재칩과 목재펠릿 업체가 우후죽순 늘어나는 건 등록 요건이 까다롭지 않기 때문입니다.  

 

[군산시 관계자]

"제조업이나 목공 했던 그분들이 다시 등록을 하는 거거든요. 등록 사항은 솔직히 조건이 어렵지가 않더라고요."


대기오염 물질을 내보내는 업체를 규제하는 배출 기준이 있긴 하지만 실효성이 없는 것도 문제,


남원의 한 대형 목제 펠릿 공장의 톱밥 가루에 주민과 주변 업체가 피해를 호소한지 오래인데  뾰족한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습니다. 


공장 배출구에서 나오는 먼지가 기준치를 넘기지 않으면 규제를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남원시 관계자 (지난 3월)]

"저희도 이제 힘든 게, 법적으로 문제될 상황에 대해서는.. 법적으로는 잘 지키고 있는 상황이에요."


일단 권익위가 나서면서 군산 성산면 주민들은 한 숨을 돌린 상황, 


하지만 등록이 용이한 목재 업체의 특성 상 우후죽순 늘어나는 것이 현실이어서, 목재 가루 피해를 예방할 추가 대책이 절실해 보입니다. 


MBC NEWS 전재웅입니다.


영상취재: 김종민

그래픽: 문현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