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600조 반도체 육성계획.. 초고압 송전선은 '전북 몫'?
2025-09-08 691
조수영기자
  jaws0@naver.com

[전주 MBC 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수도권에 추진되는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 계획이, 지역균형발전과는 거꾸로 가고 있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습니다.


국가경제의 미래가 걸린 첨단 산업이라 필요성은 분명하지만, 막대한 전력을 지방에서 끌어와야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인데요.


이른바 '에너지 식민지화' 논란, 전북에서 크게 불붙고 있습니다.


조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재작년 윤석열 정부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20여년 동안 수백조 원을 투입하는 초대형 프로젝트입니다.


[윤석열 / 전 대통령 (재작년 3월)]

"더 성장하기 위한 민간의 투자를 정부가 확실히 지원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대상지는 경기도 용인,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추가 전력은 16GW로 추산됩니다.


국내 전력 수요량의 16.5%에 해당하는 막대한 전력을, 수도권에 더 집중시키는 셈입니다.


그리고 필요한 전력은 대부분 지방에서 끌어와야 합니다.


이 같은 계획은 지난 5월 말, 이재명 정부 출범 직전 확정됐습니다.


계획상 전북자치도 곳곳을 새롭게 관통하는 초고압 송전선로만 26개, 길이로는 1,070km,


한반도 최북단에서 최남단까지 잇는 것과 맞먹습니다.


대부분이 현재 입지 선정 단계지만, 관련 지역들에선 이미 반대 대책위원회가 꾸려지는 등 반발 움직임이 본격화했습니다.


전주를 제외한 모든 지자체가 이 문제로 주민과 갈등을 빚는 상황에서 도의회에서는 전북도의 대책을 물었습니다.


[서난이 / 전북자치도의원]

"도내 13개 시·군을 관통하는 송전선로 건설 계획에 대해 도민의 대표로서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도민의 생존권과 환경권을 지키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 계획이십니까?"


김관영 지사는 도내 재생에너지 산업을 위해 송전선로 건설 필요성에는 일부 공감한다는 입장,


다만, 이같은 국가 계획에 따른 ‘에너지 식민지화’ 논란과 관련해선 구체적 대안을 내놓진 못했습니다.


[김관영 / 전북자치도지사]

"우리 도에 첨단 기업들이 많이 유치돼서 이와 연계한 산업 구조를 만드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생산된 에너지가 지역에서 소비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해 나가겠다.)"


최근 국회입법조사처는, 반도체 산업단지 개발로 전력 생산 설비가 지방에 집중되는 반면, 일자리와 세수는 수도권에 더 쏠리면서, 지역균형발전에 역행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영상취재: 유철주

그래픽: 문현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