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 MBC 자료사진]
◀앵커▶
새만금국제공항 기본계획을 취소하라는 법원의 판결이 어제(12) 나오면서, 지역 사회에서도 후폭풍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인단 측이 오늘(12) 법원에 집행정지를 신청하면서, 사업 추진 여부가 다시 한번 법원의 판단에 맡겨지게 됐습니다.
김아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을 취소하라는 서울행정법원의 판결 하루 만에, 소송인단 측이 집행정지를 신청했습니다.
11월 착공을 앞두고 진행 중이던 새만금신공항 환경영향평가 등 관련 절차를 모두 중단해달라는 겁니다.
집행정지신청은 현재 사건이 계류 중인 1심 재판부가 그대로 담당합니다.
[최재홍 / 원고 측 변호인]
"1심 판결이 나왔지만 판결에도 불구하고 이 절차가 중지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현재 진행되는 후속 절차들을 중지시키기 위해서 집행정지 결정을 오늘 아침 9시에 제출했고요."
집행정지가 인용될 경우, 11월 착공을 위해 진행되어야 하는 모든 행정절차가 우선 중단됩니다.
그렇게 되면 올해 책정된 예산 632억 원을 집행할 수 없고, 내년도 예산 수립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새만금국제공항 기본계획 취소 선고는 큰 파장을 몰고 오고 있습니다.
민주당 소속 도의원들은 간담회를 열고, "깊은 우려와 단호한 입장을 표명한다"며, "이번 판결은 대한민국의 미래 100년을 좌우할 국가균형발전에 역행하고 도민 염원을 외면하는 처사"라고 말했습니다.
[문승우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장]
"(공항이) 어느 정도 되려고 하는데 또 이런 현상이 생겨버리면.. 마음이 아픕니다."
전북도에 이어 전주시와 군산시 등 기초자치단체들도 새만금신공항 판결에 잇따라 유감을 표했습니다.
전북 209개 경제·사회단체로 구성된 '새만금국제공항 조기건설 추진연합' 등도 성명을 내고 "전북은 공항이 없는 유일한 지역으로 국제 행사 유치와 기업 투자에 불이익을 받아왔다"며, "공항 없이는 국토균형발전도, 전북의 미래 구상도 물거품이 될 수 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체제전환전북네트워크와 전북개헌운동본부, 전북노동연대 등은 "졸속으로 추진되던 새만금국제공항 기본계획 취소 판결을 환영한다"며, "국토부와 전북도는 항소를 포기하고 새만금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다시 설계하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MBC뉴스 김아연입니다.
영상취재: 김종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