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 MBC 자료사진]
◀앵커▶
부동산 경기 침체와 인구 소멸의 위기가 철밥통으로 여겨지던 공공기관마저도 구조조정의 절벽으로 내몰고 있습니다.
10여 년 전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국토정보공사가 그 대표적인 사례인데요,
가지고 있던 자산을 팔다 못해 올해는 400억 넘는 은행 돈을 빌려 직원 월급을 주는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유룡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북혁신도시 국토정보공사 노동조합이 국토교통부 앞에서 집회를 벌이고 있습니다.
급여 동결에 이어 급여 반납, 올해도 다시 급여 동결이 예상되면서 사장 퇴진과 더불어 국토부의 대책을 요구하는 시위입니다.
지적 측량 사업이 주된 업무로 전국에 147개 지사, 직원 4,000여 명을 거느린 거대 공공기관이 구조조정에 내몰리면서 내홍이 심화된 겁니다.
[이관형 / 국토정보공사 노조 수석부위원장]
"조직을 없애고, 오로지 직원들의 인건비를 깎고, 자산을 팔아가지고 이 적자를 메꾸려는 방안만 갖고 있지."
지난 2013년 전주완주혁신도시로 이전할 당시만 해도 각종 부동산 개발과 도로 개설 등으로 측량 수요가 넘쳤던 국토정보공사,
하지만 부동산 경기가 일시에 얼어붙고 전국적인 인구 소멸로 민간과 공공의 투자도 사라지면서 설자리를 잃고 있는 겁니다.
2022년 164억 원 적자를 시작으로, 23년 716억, 작년에는 822억 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되면서 3년 누적 적자가 1,703억 원에 달합니다.
지사 이전 예정 부지 등 알짜배기 자산을 처분하면서 버텨 왔지만, 올해는 직원 4천여 명의 월급을 주기 위해 400억 넘는 은행 빚을 냈고, 이런 추세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조만수 / 국토정보공사 노사협력처장]
"매우 절박한 상황입니다. 10월 20일 기준으로 약 380억 정도의 차입금이 있고요, 이게 향후에 올 연말까지 약 450억까지 가지 않을까."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본 업무인 지적 측량 외의 부가 사업은 올 스톱됐습니다.
완주에 건립한 공간정보연구원에서 디지털 트윈 시티 연구 등 미래 먹거리에 투자했지만, 몇몇 국책 연구 외에는 껍데기만 남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측량 수수료율을 인상하는 한편, 정부 보조금을 요구할 수 있는 신규 사업을 받아내는 데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박한진 / 국토정보공사 기획조정실장]
"저희가 '국토정보'의 기능에서 '국토관리'의 기능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려고 한다. 거기에는 '공유재산관리' 부분도 있고, '토지보상관리' 부분도 있습니다."
국토 개발 관련 공공기관 이전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던 전북혁신도시,
부동산 경기 침체와 인구 소멸은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앞날마저도 예측할 수 없는 암울한 상황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MBC 뉴스 유룡입니다.
영상취재: 김종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