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MBC 자료사진]
◀앵커▶
부안군이 시외버스 터미널 인근에 주차타워를 조성하겠다며 40억 원을 들여 사들인 부지가 나중에 알고 보니 연약 지반이어서 논란이라는 보도를 전해드린 바 있는데요,
결국 주차타워를 포기하고 노면 주차장으로 방향을 바꿔 공사를 시작했는데 이번에는 땅 밑에서 불법 매립된 생활 폐기물들이 무더기로 나왔습니다.
이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하려면 부안군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천문학적인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자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안 시외터미널 인근 한 주차장 공사 부지.
지난 8일 공사를 시작한 곳이지만 어쩐 일인지 공사 인부는 물론 장비도 보이지 않습니다.
[인근 주민]
"(부지에서) 뭐가 나왔다나. 쓰레기가 나왔다나."
땅 단면을 보니 오래된 비닐 쓰레기들이 흙과 자갈에 섞여 나무뿌리같이 얽혀 있습니다.
[정자형 기자]
"공사장 곳곳에서는 과거 1980년대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쓰레기들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부안군이 원래 2층짜리 타워형 주차장을 세우려던 부지였지만 연약지반인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부랴부랴 노상주차장으로 설계를 바꿨습니다.
결국 40억 원을 들여 부지를 사들이고도 우여곡절 끝에 2년 만에 본격적인 공사를 시작했지만, 이번에는 터파기 중 쓰레기가 발견되면서 공사가 멈췄습니다.
알고보니 해당 부지는 1980년대까지 저수지여서 연약 지반일 수 밖에 없었는데 막상 파보니 주민들이 버린 생활 쓰레기들이 그대로 묻혀있었던 것입니다.
[인근 주민]
"여기가 원래 쓰레기통이었어. 원래 방죽을 쓰레기로 매립한 거지."
부안군에 따르면 해당 저수지의 깊이는 아파트 3층 높이에 달하는 8미터로 추정되는데,
현재로선 땅을 파보기 전까지는 쓰레기가 얼마나 묻혀 있을 지 파악조차 어려운 겁니다.
과거 저수지의 부지의 극히 일부만 손댄 상황에서 나온 쓰레기들을 처리하고 흙으로 덮는 등 원상 복구에 필요한 비용만 11억 원.
만약 부지 전체 지하 쓰레기를 모두 폐기할 경우 부안군 자체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라 전북도에 손을 벌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부안군은 쓰레기가 매립된 상태에서 주차장 공사를 진행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처리해야 하는 만큼 법률 자문 등을 받은 뒤 사업 재개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상일/부안군청 건설교통과장]
"사업장에서 발생된 쓰레기를 묻었다면 큰 문제인데, 그 법(폐기물관리법)이 생기기 전 매립된 것이어서 자문을 얻어봐야겠습니다."
타워형 주차장을 세우기 적합한 지 사전 검토 없이 부지를 사들였다는 비판을 받았던 부안군 .
수십 년 된 폐기물이 무더기로 발견되면서 부안군이 쓰레기장을 수십억 원을 들여 산 게 아니냐는 꼬리표가 붙게 됐습니다.
MBC뉴스 정자형입니다.
영상취재: 유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