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서울시민 10명 가운데 7명은 '여성에게 출산은 부담스러운 일'이라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10일) 한국여성단체협의회(협의회)가 올해 4∼5월 사이 20∼40대 서울시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75.8%는 '여성에게 출산은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답했습니다.
반면, '여성에게 출산은 행복한 일'이라고 답한 비율은 8.3%에 그쳤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나이가 어릴수록 출산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꼈습니다.
20대는 84.1%, 30대는 80.1%, 40대는 65.5%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52.6%는 '여성은 출산 후 국가나 사회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는 '도움을 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인 21.7%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입니다.
연령대별로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인식한 비율은 20대 59.1%, 30대 53.9%, 40대 47.2%로 조사됐습니다.
출산·양육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68.4%가 피로와 수면 부족 등 육체적 곤란이라고 답했습니다.
'경력단절'(67.4%), '교육비용'(66.2%), '돌봄비용'(61.2%), '돌봄문제'(58.8%), '주거비용'(53.5%), '심리·정서적 문제'(46.3%), '의료문제'(37.0%)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20대의 경우 '경력단절'(84.1%)과 '주거비용'(64.9%)에 대한 우려가 더 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시가 가장 시행하길 바라는 저출생 정책으로는 응답자 61.9%가 '임신·출산 관련 지원정책 강화'를 택했습니다.
이어 '아버지 육아휴직제도 강화'(60.6%), '직장 내 보육시설 확대'(54.2%), '돌봄 지원 인력 제공 서비스(가사도우미 및 베이비시터 등) 확대'(53.4%), '어린이집 유치원 등 보육시설 확대'(45.3%), '초등학교 돌봄과 종일반 확대'(44.4%), '아동 전문 응급의료센터 확충'(40.2%)의 순이었습니다.
협의회는 이 조사를 바탕으로 오는 19일 국회에서 출산·양육 정책 포럼을 개최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