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 MBC자료사진]
◀앵커▶
전주·완주 통합에 앞장서고 있는 양측의 민간단체가 합의했다는 상생 발전 방안에 대해 완주군을 중심으로 강한 거부반응이 나왔습니다.
완주군수와 군의회까지 나서 해당 단체의 대표성에 문제를 제기한 건데, 통합을 염두에 두고 속도를 내려는 전략에 대해 반작용도 커지는 모양새입니다.
전재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유희태 완주군수가 기자회견을 자처했습니다.
전주·완주 통합을 추진하는 양측 민간 단체의 공개 제안 때문입니다.
통합이 되면 완주군과 전주시에 도움이 될 정책들에 대해 합의했다며, 이를 받아들여달라 두 지자체에 건의했는데, 완주군은 이를 단칼에 거부했습니다.
[유희태 / 완주군수]
"완주전주 상생발전 105개 방안에 대해 검토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절대 수용 불가하다는 입장입니다."
완주군민협의회와 전주시민협의위원회라는 이름의 두 단체는 전날 105개의 상생 발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통합 후 나오는 정부 지원을 완주에 전액 투자하고, 군민이 받는 혜택을 최소 12년 유지한다거나 완주군 의원 자리를 12년 이상 보장하는 등 많은 부분을 세세하게 다뤘습니다.
하지만 어떠한 공적 권위와 권한이 없는 민간단체의 이같은 합의안 발표가 오히려 반대 여론을 자극한 것으로 보입니다.
완주군의회까지도 기자회견에 나서 해당 협의회가 도대체 군민을 대변할 대표성이 있냐며 수용 불가 입장을 공고히했습니다.
[유의식 / 완주군의회 의장]
"그분들이 과연 몇 분이나 완주군에 실제 거주하고 있습니까? 제가 되묻고 싶습니다. 실제로 주소지만 오신 분들, 그분들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찬성 단체로서 인정하지 않습니다."
완주군은 민간의 통합 추진과는 별도로 현재까지 전주시가 공식적인 논의를 요청한 적도 없다는 입장입니다.
한편 완주군의회는 전주시장과 전주시의회 의장에게 통합과 관련해 TV토론을 하자고 공개 제안했지만, 우범기 전주시장은 즉답을 피했습니다.
[우범기 / 전주시장]
"저 얘기를 들었는데, 그 부분은 의장님하고 협의하고 방식이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 논의를 거쳐서 해야 될 사안이라고 봅니다."
완주군은 행정안전부 장관 인선 이후 주민투표를 곧바로 시행하기 보다는 여론조사를 통해 투표 시행 여부를 정하자고 재차 요구했습니다.
MBC뉴스 전재웅입니다.
영상취재 : 서정희
그래픽 : 문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