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내정자 있는 줄 알았어요"
2020-06-04 339
임홍진기자
  pink5467@jmbc.co.kr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도의회 인사청문회에서

전북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 지명자가

엉겹결에 한 답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명자 스스로 정실인사 관행을 실토해

파장이 예상됐지만 실제 걸러낼 제도적 방안이

마땅치 않아, 도의회 인사청문회 무용론까지

나오는 상황입니다.


정태후 기자.


◀END▶

◀VCR▶


인사청문장에 모습을 드러낸 이기전

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 지명자.


3차 공모기간이 되서야 지원한 이유를 묻자

엉겁결에 속내를 드러냅니다.


◀SYN▶

왜 2차 때는 안 내시고?

◀SYN▶

내정자가 있는 줄 알았다


황급히 말을 주워담긴 했지만 결국 스스로도

밀실인사가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얘기입니다.


단체장의 입김에 따라 좌우될 수 있는

정실인사를 막기 위해 지난해 초 도입된

도의회 인사청문회.


하지만 협약서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이상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가장 첨예한 질문이 오가는 도덕성 검증절차는

비공개로 돼 있고, 도지사에게 청문의 결과를 알려주는 보고서의 명칭은 청문보고서가 아닌

경과보고서로 표현돼 있습니다.


보고서의 성격 자체를 이미 명칭에서부터

애매모호하게 규정한 것입니다.


더구나 이 보고서는 공개되지도 않을 뿐더러

그 결과가 실제 인사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도 않습니다.


◀INT▶

실망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도 산하기관장의 인사청문을

법제화하기 위해 소송까지 이어지고 있지만

단체장 고유의 인사권을 침해한다는

법원의 판결에 가로막혀 있습니다.


인사권 견제는커녕 실익도 없이

통과의례의 명분만 주는 들러리로 전락한

도의회 인사청문의 현주소입니다.


MBC---

◀END▶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