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08월 10일](/uploads/contents/2025/08/7ef7a40a24072228f103e3699e743b0d.jpg)
![[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08월 10일](/uploads/contents/2025/08/7ef7a40a24072228f103e3699e743b0d.jpg)
Q. 계절적으로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시기도 있을거고요. 출산 후에도 탈모가 심해진다고 하잖아요. 탈모의 원인이 다양하게 있을 것 같은데요.
A. 탈모라는 증상이 똑같이 나타나지만 다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게 되는데, 많이 보는 것이 '유전성 탈모'라고 할 수가 있고요. 유전인자를 가진 사람에게서 굵은 머리들이 점점 가늘어져서 두피가 보여지는 탈모를 유전성 탈모라고 합니다. 다른 말로 '대머리'라고 하는 부분이 유전성 탈모고요. 동전모양으로 빠지는 '원형 탈모증'이 있습니다. 원형 탈모증은 면역체계의 변화에 의해서 자기 머리를 남으로 인식해서 공격을 받기 때문에 일어나는 탈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견인성 탈모'라고 해서 머리를 잡아 당기면 발생할 수 있고요. 학생들에게서 스트레스나 욕구불만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탈모벽'이라는 탈모도 있습니다.
Q. 동전 모양의 탈모를 원형 탈모증이라고 하셨는데요. 원형 탈모증은 다른 탈모증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A. 원형 탈모증은 유전성 탈모와 달리, 급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흔히 탈모가 있을 경우에 경우에 따라서 탈모가 있는지 모르고 지나칠 수도 있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탈모가 점점 심하게 진행되면 '전두성 탈모'라고 해서 두피 전체에서 나타날 수 있게 되고요. 원형 탈모증은 기존의 유전성 탈모와 달리, 굵은 머리들이 부러져서 생기는 탈모입니다. 그래서 점점 가는 머리로 변함으로써 생기게 되는데, 원형 탈모증은 주변에 머리는 굵고 빠진 부위는 잘려진 머리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Q.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는 탈모벽을 말씀하셨는데. 이것도 탈모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나요.
A. 탈모라고 할 수 있는데 어린 아이에게서 욕구불만이 있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머리를 비틀거나 뽑음으로써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발생된 탈모들은 앞서 말씀드린 원형 탈모증과 조금 유사한 양상을 보이게 되고요. 아이들에게서 본인이 받는 스트레스를 해결해주면 낫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Q. 여성형 탈모와 남성형 탈모는 어떻게 다른거죠.
A. 우리가 주변에서 제일 많이 보는 게 남성형 탈모입니다. 남성형 탈모와 여성형 탈모는 유전성 탈모로 발생하는 양상이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남성형 탈모는 M자 형태로 양쪽 측면에서 먼저 탈모가 시작해서 점차적으로 진행하게 되고요. 반면에 여성형 탈모는 정수리 부위 흔히 저희가 왕관 쓴 부위 안쪽에서부터 탈모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똑같은 유전성 탈모이긴 하지만 남자와 여자에 탈모 양상이 틀리기 때문에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로 나누고 있습니다.
Q. 이런 탈모에 적극적인 치료 방법 중에 하나가 모발이식이 될텐데, 모발이식은 모든 탈모에서 시술이 가능한가요.
A. 모발이식이 가장 많이 시술되는 부분은 '대머리'라고 하는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에서 주로 시술이 되고 있습니다. 반면, 원형 탈모증에서도 탈모이기 때문에 환자분들은 '이 부위에 심어줘라' 이렇게 되는데 원형 탈모증은 모발이식을 시행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원형 탈모증은 약물치료나 주사를 통해 치료가 잘 되게 됩니다. 그렇지만, 원형 탈모증이 2년 이상 경과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탈모가 있는 부위가 흉터화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형 탈모증이어서 머리를 심을 수 있습니다.
Q.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거네요. 모발이식을 한 머리는 경과가 어떻게 되나요.
A. 많은 분들이 모발 이식한 머리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는데, 흔히들 심은 '머리가 다 빠져서 나지 않겠냐'라는 그런 생각도 하게 되구요. 시간이 많이 지나면 '탈모가 진행되지 않을까' 걱정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모발이식을 하는 경우에 탈모가 진행되지 않는 머리를 채취해서 심기 때문에 탈모 진행은 하지 않게 되고요. 심어진 머리들은 보통 2주 정도 자라게 됩니다. 0.5cm 정도 자라게 되고요. 2주 정도 경과하면 심어진 머리들이 빠지게 됩니다. 한 달쯤 되면 심어진 머리들이 거의 빠지게 되는데, 이 시기에 주변에서 환자분들이 봤을 때는 '심은 머리 다 빠졌다' 생각할 수 있는데, 실은 정상 경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록 심어진 머리가 빠지더라도 두피 안에는 새로운 모발이 생성되게 됩니다. 새로운 모발이 두피를 뚫고 올라와서 정상적으로 자라는 것은 3개월 정도. 이때부터 한 달에 1cm자라서 정상적으로 3~6년 정도 정상적인 주기를 가지고 자라게 됩니다.
Q. 환자나 의료진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A. 환자분들이 중요하게 보는 것은 '얼마나 자라냐', 또 수술 후에 결과가 어느 정도 확실하냐는 것에 대해서 궁금해하고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시술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환자가 시술로 인해서 만족해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는 게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똑같은 시술이 반복되는 것이잖아요. 그러다 보니, 의료진의 피로도나 집중력이 수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습니다.
A. 주변에서 볼 때 모발이식을 하는 과정이 똑같이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지루하게 생각 될 수 있습니다. 환자도 다르고 시술 시기도 다르기 때문에 똑같이 보여지지만, 똑같은 시술은 아니고요. 시술이 오랜시간 동안 반복되고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극복하기 위해서 로봇에 의해서 모발 이식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유동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