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생활인구 모시기, 전북 인구 위기 돌파구 되나
2025-05-08 870
강동엽기자
  soros@jmbc.co.kr

[전주MBC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도내 대다수 시군은 인구감소지역일 정도로 인구 위기가 심각하지만, 해결책은 좀처럼 찾기 힘든 게 현실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역을 방문해 머물다 가는 인구까지 더한 생활인구를 어떻게 든 늘려보자는 것이 지자체마다 지역 활성화의 해법으로 모색되고 있습니다. 


강동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재작년 인구 5만 명이 무너진 부안군, 


지속적인 인구 감소 속에 생활인구 유입은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생활인구는 지역 내 외국인과 주민등록 인구에 관광이나 근무 등을 목적으로 월 1회, 하루 3시 간 이상 체류자를 합한 인구를 뜻하는데, [CG]부안은 지난해 3분기 월 평균 40만 명을 넘었습니다. 


지역 인구의 8배가 넘는 수로,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관광 상품을 마련하는 등 생활인구 유입을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부안군은 보고 있습니다. 


[이영란 / 부안군 인구활력팀장]

"정주인구가 계속적으로 줄고 있는 상황에서 걱정이 많았는데요. (생활인구 덕분에) 소비가 늘어나고 상권 활성화도 되면서 지역경제가 활성화가 되기 때문에.."


도내 인구감소지역 10곳 전체로 보면 생활인구가 주민등록 인구보다 206만여 명 더 많아 생활인구 확보는 지자체마다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익산과 완주, 진안·무주 등 4개 시군은 행안부의 '고향올래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35억 원을 확보했습니다. 


로컬 유학과 두 지역살이 등 생활인구를 위한 기반 조성과 정주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사업으로 올해 광역시도 가운데 전북이 가장 많이 선정됐습니다. 


장수도 농식품부의 농촌 체류형 복합단지 조성 사업에 선정돼 주거시설과 편의공간, 영농체험을 위한 텃밭 등을 조성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렇다 보니 전북자치도도 생활인구를 위한 전담팀을 꾸렸습니다. 


문화와 관광, 외국인과 농산어촌 등 분야를 세분화해 생활인구 특성에 맞는 정책을 발굴하고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정우 / 전북도 인구청년정책과장]

"(생활인구가) 단순히 머물다 가는 것뿐만이 아니라 체류 기간을 늘려서 지역의 활력과 또 경제적인 소비를 좀 촉진시킬 수 있는.."


조명 받고 있는 생활인구가 심각한 인구감소 위기에 놓인 전북자치도에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MBC 뉴스 강동엽입니다. 


영상취재: 유철주

그래픽: 문현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