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판타지] 전주MBC 2025년 07월 10일](/uploads/contents/2025/07/a86f211f14513170474ba7c0f4c61328.png)
![[로컬판타지] 전주MBC 2025년 07월 10일](/uploads/contents/2025/07/a86f211f14513170474ba7c0f4c61328.png)
[전주MBC 자료사진]
◀앵커▶
시민단체 경실련이 제22대 국회의원들의 농지 보유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아무래도 전북은 곡창지대가 있다보니 어느 의원이 얼마만큼 땅을 갖고 있고, 실제 농사를 짓는지 관심일 수밖에 없죠.
농지 규제가 풀리는 가운데 농지를 보유한 의원들의 활동을 주시해야 한단 지적도 나옵니다.
보도에 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제 백구평야, 논콩이 자라나는 재배단지입니다.
[조수영 기자]
"이 일대는 지역구가 김제인 이원택 의원이 보유한 농지입니다. 전체 약 1만 2천 제곱미터, 축구장 1.7개가 들어가는 면적입니다."
시민단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제22대 국회의원 300명을 조사한 결과, 이처럼 농지를 가진 의원은 67명, 다섯 명 중 한 명 꼴입니다.
[최나리 / 경실련 경제정책팀]
"과연 국회가 농지의 공익적 성격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입법과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상황입니다."
전북 지역에선 이원택 의원이 가장 넓었는데, 전체 의원 가운데서도 네 번째에 해당합니다.
바쁜 의정활동 탓에 농사하긴 어렵고, 어쩔 수 없이 농어촌공사에 농지를 위탁하는 방식으로 임차농이 농사를 지어 문제가 없다는 해명,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려가 없지 않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이 의원처럼 단순히 농지만 갖고 있는 게 아니라 농업이나 국토 이용 정책과 밀접한 상임위원회에서 활동하는 의원이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 의원들이 농지를 보유한 상태에서 농지 규제 완화에 앞장서는 입법 활동을 하는 등 이해충돌 의심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최나리 / 경실련 경제정책팀]
"(국회 국토위 농해수위 등) 두 상임위원회 기준으로 총 18명이 해당되었고요. 따라서 (상임위) 배정에 더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밖에 도내에선 전주 지역구 의원이자 나란히 장관 후보로 지명된 정동영, 김윤덕 의원이 각각 순창과 정읍에 약 2천 제곱미터 면적의 농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의원들은 모두 상속 받은 땅이라며, 배우자가 농사를 짓거나 자신이 대표로 있는 문중이 공동명의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영상취재: 유철주
화면출처 : 경실련
그래픽: 문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