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흔들림 없는 정책, 독일 재생에너지 선진국 우뚝
2025-10-06 240
강동엽기자
  soros@jmbc.co.kr

[전주 MBC 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새롭게 출범한 이재명 정부는 재생에너지 대전환에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지만 재생에너지 중심지를 표방한 전북조차 우려가 여전한 것이 현실입니다.   


전주문화방송은 다섯 차례에 걸쳐 독일이 어떻게 전체 전력의 절반 이상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재생에너지 강국이 됐는지 그리고 농업과 축산 현장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적용하는지를 독일 현지 취재로 집중 조명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그 첫 순서로 독일 정부가 재생에너지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걸었던 그간의 여정을 살펴봅니다.  


강동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독일이 탈석탄,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게 된 것은 지난 1998년 사민당과 녹색당의 연립 정부가 출범하면서부터입니다.


탈원전은 특히 지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뒤 급물살을 탔습니다. 


당시 독일 메르켈 총리가 원전 중단을 공식화했는데, 많게는 30개가 넘는 발전소를 가동하며 전체 전력의 3분의 1을 책임졌던 원전을 멈추겠다는 파격적인 선언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주요 국가 정상들과의 공동선언문 을 통해 화석연료 감축에도 앞장서며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연대에도 적극 나섰습니다. 


[메르켈 / 전 독일 총리, 지난 2015년]

"이산화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필요성에 공감했습니다."


반발도 있었지만 기후변화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와 석탄발전과 원전 대한 반대 운동도 독일 정부에 힘을 실었습니다.   


독일 수도 베를린에서는 시민 등 6만 명 넘게 모여 재생에너지 확대와 석탄발전소 폐쇄를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마지막 남은 원전 3곳의 가동이 지난 2023년 모두 멈추면서 정부 정책이 결실을 맺었습니다. 


[유겐 스레드 / 독일 전 환경부 장관, 지난 2023년]

"원자력 기술의 도입은 역사적 실수였습니다. 오늘 우리는 이 실수를 바로잡았습니다."


굳건한 정책으로 독일은 지난해 전력소비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54%까지 끌어올렸고 2038년 석탄발전 중단 등 2045년 탄소중립 목표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필립 하일마이어 / 독일 에너지청 미래 에너지 공급 부문장]

"(핵심인 풍력·태양광을 위해) 재생에너지법은 발전시설들이 완공될 때까지 시장에서 더 높은 적정 가격으로 자금을 완벽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OECD 국가 가운데 꼴찌로,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10% 정도에 불과한 한국에게 독일은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강동엽 기자]

탈원전 등 일찌감치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면서 지금은 재생에너지 강국이 된 독일, 태양광부터 송전선로 구축, 그리고 기업들의 RE100 노력 등이 어디까지 와있는지 독일 현지에서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독일 베를린에서 MBC 뉴스 강동엽입니다.


영상취재: 서정희

화면제공: 방송기자연합회 공동취재단

취재지원: 방송기자연합회, 에너지전환포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