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MBC 자료사진]
◀앵커▶
40여 년간 이용됐던 전주의 옛 법조단지가 6년 전 만성동으로 이전했지만, 옛 부지가 새로운 기능을 찾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습니다.
이전 후에는 지역 주민들의 법 체험을 위한 시설인 '로파크'를 만들겠다는 계획이 발표됐지만, 애초 현장 파악이 제대로 안된 데다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사업비만 두 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정자형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주의 대표적인 구도심 덕진동 언덕에 위치한 3천여 평 부지.
건물들의 외벽은 빛이 바래있고 장시간 손길이 닿지 않은 것처럼 수풀이 우거져 있습니다.
[정자형 기자]
"뒤로 보이는 곳은 지난 2019년까지 법원과 검찰청으로 이용됐던 건물들이 모여있는 전주의 옛 법조단지입니다."
법원과 검찰청이 혁신도시 인근 만성동으로 옮겨가면서 이곳을 오가던 발길 역시 크게 줄었다고 주민들은 말합니다.
[인근 주민]
"여기는 원래 사람들 많았었어요. (지금은) 가게 같은 것도 다 비었잖아요."
[주변 상인]
"(사람들이) 많이 줄었다고 봐야죠. 통행이. (법원이) 만성동으로 간 지 모르는 분들도 많아."
처음부터 방치됐던 것은 아닙니다.
신청사가 지어질 무렵인 2019년 1월, 국유지 개발 대상지로 선정돼 법 관련 직업 체험 시설인 '솔로몬 로파크' 설립 계획이 세워졌습니다.
국회가 2020년 로파크 사업 명목으로 예산 212억 원을 확정한 이후 사업을 담당하는 법무부와 부지를 소유한 기재부 등 관계 기관의 논의도 십여 차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사업의 발목을 잡은 건 돈이었습니다.
리모델링 등 수리를 통해 운영하겠다는 게 최초 계획이었지만 법무부 실사 결과 건물 노후가 심해 신축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 겁니다.
철거해야 할 건물은 부지 내 14개로 총 60억 원 상당이 들 것으로 산정됐는데 기존 예산에는 없었던 비용이었습니다.
부지를 소유하고 있는 기재부가 현 법조단지 인근에 대체 부지를 마련하면 어떠겠냐고 제안을 했지만 마땅한 곳이 없어 결국 사업비를 증액해 신설하는 방향으로 정리됐습니다.
지난달 최종적으로 협의된 사업비는 403억 원, 2020년 세워진 예산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전주시 관계자]
"가장 큰 이유는 리모델링한다고 했다가 철거하고 신축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꿔서 사업비가 많이 증가된 거고요. 인건비나 자재비가 올라가다 보니."
현재 상황에 대해 법무부는 서면 답변을 통해 기본 및 실시 설계 용역 발주를 시작으로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
결국 제대로 된 현장 확인 없이 거창한 계획이 발표하면서 사업도 지연되고 그 사이 예산은 2배 이상 불어난 꼴이 됐습니다.
MBC뉴스 정자형입니다.
영상취재: 조성우
그래픽: 김하늘
자료제공: 이성윤 의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