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여론조사 응답률 10%'의 함정.. "'유령응답' 가능하다?"
2022-04-05 2990
조수영기자
  jaws0@naver.com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지방선거..


이제 당내 경선을 앞두고 분위기가 한층 가열되면서 여론을 선점하려는 예비 후보자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예비후보들 사이에선 최근 각종 언론 지면에 공표되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여론조사에 활용되는 가상번호가 문제인데,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 가상번호의 주인이 해당 지역의 유권자가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 것입니다.


먼저 조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최근 더불어민주당 지방선거 예비 후보자들이 발송한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입니다.


홍보 문구로 도배돼 있지만 서울지역 국번으로 여론조사 전화가 걸려오면 자신을 선택해달라는 당부가 핵심입니다.


본선이나 경선도 아닌 말 그대로 여론조사, 이렇게 후보들이 목을 메는 이유는 이것도 하나의 선거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도내 지방선거 출마예정자]

"여론조사가 당선 가능성에 들어가잖아요. 거기에 40%.. 그 다음에 기여도가 25점, 면접이 10점.."



시민들 반응은 그닥 호의적이지 않습니다.



[이채영, 이은지 ]

"약간 스팸처럼 생각하는 것 같아요. 번호에 02 들어가는 것 있으면 다 끊고.."



[ 정현석 ]

"제가 원하지 않는 시간에 원하지 않는 전화를 받는 거니까 그래서 끊는 것 같아요."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근 도내에서 진행된 무선 여론조사들의 응답률도 대부분 10퍼센트대, 저조한 수준입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응답에 나서는 사람들은 누굴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여론조사 응답자는 지역 유권자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여론조사 기관이 전화를 돌릴 때 사용되는 건 가상 전화번호입니다.


선거관리위원회가 이동통신사에 요청하면 휴대전화 가입자들의 성별과 연령, 그리고 지역이 반영된 가상번호가 추출되는 원리입니다.


과학적인 방식으로 암호 처리돼 응답자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아 안심할 수 있고, 이 과정에 선관위가 개입해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렸습니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이동통신회사들이 여론조사용 가상번호를 추출할 때 기준으로 삼는다는 거주 지역..


알고보니 휴대전화 요금 고지서가 날아가는 장소를 의미할 뿐이었습니다.


특정 지역 후보에 대한 지지를 묻는 여론조사지만, 응답자는 정작 그 지역에 살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

"통신사에 전화해서 주소지 변경을 요청할 수 있잖아요? 그러니까 정확하게 주민등록상 주소, 우리가 말하는 그거하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는 거죠."



스마트폰 통신사 앱이나 전화통화로 휴대전화 요금이 청구되는 주소지를 옮기는 일도 어렵지 않습니다.


취재팀이 직접 확인해보니 통신사 홈페이지나 상담전화를 통해 청구 주소지를 옮기는 데는 채 1분도 걸리지 않았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일각에선 악용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예비후보자들이 실제 지역에 살지 않는 유령 응답자들을 미리 섭외해 휴대전화 요금 청구지를 옮기는 식으로 지지율을 끌어올린다는 겁니다.



[ A자치단체 지방선거 예비후보 ]

"한 집에 10명, 5명 이런 식으로 들어와 있어요. ㅇㅇ가(이) 개입이 돼갖고 ㅇㅇ가 했고 ㅇㅇ의 세력들이 모여서 교육까지 받아가면서 했어요."



무선 여론조사의 맹점을 이용한 동원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전북 선거거관리위원회는 아직 또렷하게 밝혀진 내용이 없고 위법성을 판단할 법조도 마련돼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MBC 뉴스 조수영입니다.


-영상취재 진성민

-그래픽 김하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