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MBC자료사진]
◀앵커▶
폭발 사고로 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던 전주 리싸이클링타운에서 지속적으로 전기요금을 체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주시가 이례적으로 연대보증까지 서며 단전 위기를 매달 넘기고 있는데, 리싸이클링타운의 운영 부실이 또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김아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주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 등을 재처리하는 전주 리싸이클링타운.
한국전력공사는 지난 해 7월, 리싸이클링타운에 처음으로 단전을 예고했습니다.
3개월 분 전기요금이 미납되자, 다음 달부터 전기 공급을 끊겠다고 경고한 겁니다.
[한국전력공사 관계자]
"보통은 만 2개월 정도 미납이 됐을 때 단전을 할 수 있다는 공고를 하고 3개월이 지나면 단전을 실제로 시행할 수 있는 근거가 생기는데요."
밀린 요금 일부를 납부하며 가까스로 단전 위기를 넘겼지만 연체는 계속됐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전주시가 전기 요금을 상습 체납한 리싸이클링타운데 대해, 연대 보증까지 서면서 전기세를 대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해 10월과 11월 12월 분 1억 6천여 만원을 대납한 데 이어, 올해 1월과 2월, 3월분 1억 7천여만원도 또다시 대납했습니다.
일단 급한 불을 끈 뒤, 나중에 운영사에 줘야할 사용료에서 제외하고 지급해온 겁니다.
[전주시 관계자]
"전기 인입이 따로 되어있지 않고 하나로만 되어있어서 슬러지 처리 시설에 대한 단전을 시행하면 송천동 하수처리장 전체가 단전이 된다고 해서 저희가 어쩔 수없이 대납을 하게 된 상황입니다."
[김아연 기자]
"만약 전기가 끊긴다면 쓰레기대란까지 야기될 수 있는 공공시설이 상습적으로 전기료를 체납하고, 전주시는 연대보증이라는 무리한 방식으로 이를 보전해주는 악순환이 반복돼 온 겁니다."
전주 리싸이클링타운은 공공 시설이지만 운영은 민간 기업이 맡습니다.
이른바 BTO 방식으로, 민간 기업이 투자해 시설을 짓고 소유권만 공공기관에 넘긴 뒤 장기간 독점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전주 리싸이클링타운도 소유권이 전주시에 있지만, 민간 기업들이 20년 동안 운영권을 갖고 있습니다.
[최서연 의원]
"BTO로 만들어진 시설들에 문제 생길 때마다 전주시 예산이 투입되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실질적인 BTO의 의미가 상실되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부실 운영 논란 속에도, 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에 포함된 성우건설과 에코비트워터 등은 지난해 말 전주 지역 하수와 분뇨 처리 등을 담당하는 공공하수도 관리대행업자로 또다시 선정됐습니다.
MBC 뉴스 김아연입니다.
영상취재: 조성우
그래픽: 문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