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전주시의회 누적되는 '비위·일탈'.. 징계는 손 놨나
2025-08-07 340
김아연기자
  kay@jmbc.co.kr

[전주MBC 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요즘 전주시의회를 향한 시선이 따갑습니다.


소상공인 예산을 의원 가족 업체가 싹쓸이를 했는가 하면 부적절한 국내·외 연수 관련 의혹들까지..


하지만 시의회는 이들 행위에 대한 징계에 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김아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소상공인을 위한 전주맛배달 할인구독 지원 예산이 자신과 가족, 지인의 업체에 65%가량 집중돼 논란의 중심에 선 전윤미 전주시의원.


관련 상임위원장까지 맡고 있던 전 의원은 논란이 커지자 위원장직을 내려놓겠다고 밝혔습니다. 


[전윤미 의원(지난 달 28일)]

"문화경제위원장직에서 사퇴하고 사보임을 정식으로 시의회에 요청하겠습니다."


각계 비판이 커지고 있지만 전 의원에 대한 시의회 차원의 징계 여부는 논의되지 않고 있습니다.


올들어 각종 일탈과 비위가 반복되고 있는 전주시의회.


그러나 의원들로 구성되는 시의회 윤리특위는 단 한 차례도 소집된 적이 없습니다.


이국 시의원은 올초, 노인회 전주시지회장 선거 개입 논란이 불거졌고, 


행정위원회 소속 시의원 7명은 지난 3월 탄핵 정국과 대형 산불 재난 상황에서 관광성 연수를 간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최근에는 박선전 시의원이 단장으로 참여한 해외연수에 민간 업자를 대동하고 연수 비용을 부풀린 의혹이 불거져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남관우 / 전주시의회 의장]

"이 내용을 저희들이 일단 하나하나 검토해서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결과를 내놓을 수 있도록 윤리위원회 회부 등을 (검토하겠다.) "


외부로까지 불거지는 전주시의회 의원들의 비위와 일탈은, 특정당의 독주가 낳은 그릇된 관행과 인식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의회 밖 정서와 달리 진정한 반성과 후속 조치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가, 결국 '버티면 된다' '공천만 받으면 된다'는 인식때문인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일고 있습니다.


한편 이런 일탈과 비위를 눈감는 시의회의 제식구 감싸기는 민주당 소속 의원에 국한된 것으로 보입니다.


정의당 한승우 의원이 최근 전주종합경기장 철거 감리 관련 특혜 의혹을 제기하는 5분 발언을 앞두고 담당 과장에게 협박성 발언을 들었다는 사실을 공개했지만, 시의회는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는 것이 단적인 예입니다.


MBC뉴스 김아연입니다.


영상취재: 강미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