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MBC 자료사진]
◀앵커▶
최근 새내기 공무원의 이탈을 막겠다며 전북도나 전주시 등에서 특별 휴가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시군 의회는 의원과 밀접한 의회 공무원만 콕 집어 생일 휴가를 주는 조례를 만들어 입법권 남용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전재웅입니다.
◀리포트▶
지난 6월, 부안군의회는 의회 소속 공무원만을 위해 휴가 규정을 바꿨습니다.
[김두례 / 부안군의회 운영위원회 위원장 (6월 26일)]
"특별 휴가를 신설하여, 복무 환경을 개선하고, 근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개정하고자 하는 내용으로.."
모든 공무원에게 보장된 20일가량의 연차 외에 공무원 이탈을 막는다며 새내기 공무원에게 4~6일의 특별 휴가를 주기로 했습니다.
[부안군의회 관계자]
"8월 6일날에 시행이 됐거든요. 직원들이 지금 이탈하는 경우가 좀 많이 있어서 사기 진작 차원에서.."
구인난이 심한 제조업도 아닌 상황에서 10년 미만 공무원을 위한 특별휴가도 논란의 소지가 있지만, 더 뜬금없는 것은 이 특별 휴가 규정 말미에 등장한 생일 휴가입니다.
의회 공무원은 생일이 있는 달에 하루를 쉴 수 있다는 사실상 특혜를 부여한 것입니다.
공무원, 그것도 단 22명의 의회 공무원에게만 생일 휴가를 준다는 것에 시민들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입니다.
[50대 시민]
"(일반 회사와) 형평성에 맞게 해야 될 것 같아요. 정책을 논의하고 입안을 해야 하는데, '그런 문제가 있다던데요?' 하고 쓰기 시작한다는 건, 그럼 안 되죠."
전북도나 전주시, 남원시 등은 휴가로 이직 현상을 막을 수 있는 것처럼 요란을 떨며 새내기 공무원용 특별 휴가를 일찌감치 도입했고,
이제는 한술 더떠 부안과 완주, 군산시의회는 자신들과 밀접한 공무원, 혹은 의회 공무원만 콕집어 생일 휴가를 보내주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모든 이의 생일은 축하받을 일이지만, 의회가 특별 휴가를 줄 만큼 공공성과 공익성이 있는 특별한 날인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MBC뉴스 전재웅입니다.
영상취재: 조성우
그래픽: 문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