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 자료사진]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특별위원장은 검찰의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분실 사건'과 관련해 "상설 특검을 추진하는 걸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전 위원장은 오늘(8일) 3대 특검 종합대응특위 전체회의에서 "관봉권 띠지 분실 사건은 검찰이 아닌 별도의 독립된 특검 혹은 상설특검에 의해 진상 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민주당은 상설특검 도입을 즉각 추진해 띠지 분실을 보고받고도 조치 없이 무마하려 했던 신응석 전 남부지검장과 이창수 전 중앙지검장, 심우정 전 검찰총장의 범죄 의혹의 실체도 규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도 오늘 오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이 왜 관봉권 띠지를 분실했는지, 조직적 은폐가 아닌지 국민은 궁금해 한다"며 "이재명 대통령 역시 부실수사 가능성을 지적하며 (정성호 법무부 장관에게) 상설 특검 등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조배숙 국민의힘 사법정의수호 및 독재저지 특별위원장은 오늘 국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대통령이 직접 특정 사건 수사 방향 지시하는 건 법치 체계에 중대한 위반"이라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곽규택 의원도 "정부의 하명을 받고 수사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특검에 대해선 수사와 기소를 집중시켜서 입맛에 맞는 수사를 진행한다"며 비판했습니다.
앞서 서울남부지검은 지난해 12월 건진법사 전성배 씨 자택을 압수수색하던 중 5000만 원어치 한국은행 관봉권을 포함한 현금다발을 확보했습니다.
그러나 관봉권에 부착된 띠지와 스티커 등 증거물이 분실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검찰은 돈다발의 출처를 특정하지 못한 채 사건을 특검에 넘겼습니다.
한국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공급하는 밀봉된 화폐인 관봉권에는 지폐 검수 날짜와 담당자 코드 등이 표시돼 자금 경로를 추적하는 데 쓰입니다.
지난 5일 열린 국회 '검찰개혁 입법청문회'에서 증인으로 나온 남부지검 수사관들은 띠지 분실 경위 등에 대해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일관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