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Air
"폭우 때면 침수 반복".. 극한 호우에 대응도 난항
2025-09-08 161
전재웅기자
  rebear@jmbc.co.kr

[전주 MBC 자료사진]

[선명한 화질 : 상단 클릭 > 품질 720p 선택]

◀앵커▶

하룻밤 사이 300mm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진 군산은 수해 지역을 중심으로 복구 작업이 한창입니다. 


군산시는 극한 호우가 올 때마다 비슷한 곳에서 침수 피해가 반복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수해 대책 마련은 더딘 상황입니다. 


전재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마가 휩쓸고간 거리에는 쓰레기가 잔뜩 쌓였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은 쓸 만한 집기류를 건져 연신 물을 뿌려가며 복구에 손을 보탭니다. 


[오옥자 / 자원봉사자]

"눈으로 와서 보니, 텔레비전 보는 것하고 다 현실이 너무 달라요. 너무 막막하고 안쓰럽네요."


시간당 152mm에 달하는 기록적인 폭우에 사람 가슴 높이까지 물이 차올라 차량이 잠기고, 가게까지 삽시간에 물이 잠긴 군산, 


하룻밤 새 상가 70여 곳이 물에 잠겨 이틀째 복구 작업이 진행됐습니다. 


[문영진 / 식당 주인]

"여기 까지 찬 상황이, 배수가 안 돼 가지고 약 1시간 20여 분이 지속됐습니다. 제가 한 3시 반까지 여기 있었어요. 빠지지가 않았어요."


일부 상인들은 물을 막을 차수판을 설치했지만 1.5m 이상 차오른 물에 힘을 쓰지 못했고, 매년 반복되는 피해에 상인들은 망연자실했습니다. 


[피해 자영업자]

"올해는 허리춤까지 차니까, 솔직히 장사할 마음도 안 나고 자포자기가 많이 되죠. (그래도) 많이들 도와주고 가셔서, 혼자서 할 수 없는 상황을 빨리 복구할 수 있게끔 도와주셨고.."


기계실이 물에 잠겨 716세대가 단전 단수 사태를 겪었던 아파트 주민들은 급한대로 전기는 공급됐지만, 제대로 씻지도 마시지도 못한 채 임시 화장실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주민] 

"전기가 어제 밤에 들어왔어요. 아침에는 물이 조금 나오다가 다시 끊어졌는데.."


올해 수해가 난 지역은 상습 침수 피해 지역이라 그동안 두 차례 빗물 저장 시설을 지하에 만들었지만 올해도 맥을 쓰지 못했습니다.


[군산시 관계자] 

"신풍동, 나운동, 경포천까지 해가지고 올해 예산이 처음 내려왔고, 나머지도 저희가 침수 흔적도라든지 용역을 해서.."


현재 전북도와 군산시는 기존 용량보다 2배 규모의 빗물 저장 시설을 추진 중인데 빨라야 3년 뒤 만들어질 전망입니다.


MBC뉴스 전재웅입니다. 


영상취재: 정진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