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10월 12일](/uploads/contents/2025/10/4113554fb9b9f3d32079769cefe8aed0.jpg)
![[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10월 12일](/uploads/contents/2025/10/4113554fb9b9f3d32079769cefe8aed0.jpg)
[전주 MBC 자료사진]
◀앵커▶
의정 갈등 이후 지역 의료 격차와 공공 의료 대책에 대한 논의가 원점으로 돌아오면서, 정부가 국정과제로 대안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특히 이번 국정 감사에서 정부 부처의 공공의대 유치 추진 의사가 재확인되면서 남원 유치 여부 등 세부 계획에 관심이 쏠립니다.
허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극심한 의료 격차와 지역 필수 의료 인력 부족은 이번 보건복지부 국정 감사에서도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관련 대책을 묻는 질문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역 필수 의료 인력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세 가지 정책을 들었습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장관]
"지역의사제, 공공의료사관학교, (의대가 없는 지역에) 의대 신설이라는 것을, 세 가지를 지금 같이 놓고, 어떻게 기획을 할 것인가 세부 기획 방안에 대해서 검토 중에 있습니다."
기존 의대 정원의 일부를 활용한 지역의사제와, 전남 등이 요구하는 의대 신설과 더불어,
'공공의대'와 용어가 혼용되고 있는 '공공의료사관학교' 추진을 재확인 한 것입니다.
앞서 연휴 전에도 정은경 장관은 공공의료사관학교와 신규 의대 설립 정책을 병행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습니다.
학비 등을 국가가 지원하는 대신 졸업 후 일정 기간은 의료 취약지에서 의무 근무하도록 하는 것이 공공의대 정책의 골자인데,
지역 정치권은 지난해 7월 발의해 현재 법안소위에 계류 중인 공공의대법의 연내 제정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추진된 숙원 사업으로 당정이 공감대를 쌓았던 만큼 남원에 공공의대 유치가 유력하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습니다.
[박희승 국회의원]
"서남대 의대 정원 49명을 우선 활용한다면 의대 정원 갈등과 직결되지 않습니다. 남원은 이미 부지의 55%를 매입하는 등 많은 준비가 돼 있습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시절 의료계 반발을 넘지 못하고 좌절됐던 만큼, 또다시 예견되는 사회적 갈등을 넘어서는 것이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의료 인력 확대를 목표로 공공의대 설립 등 3가지 안이 종합적으로 검토되고 있어 전북지역이 원하는 공공의대만 속도를 내기도 쉽지 않아 앞으로 나올 정부 결정에 관심이 쏠립니다.
MBC 뉴스, 허현호입니다.
영상취재: 서정희
그래픽: 김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