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MBC 자료사진]
◀앵커▶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고속도로’ 사업을 놓고 전북 지역 정당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최근 확정된 전력망 확충 계획이, 결국 도내에서 생산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는 큰 그림이란 해석이 나오면서, 이른바 ‘에너지 식민지’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조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선 후보 시절 전북을 찾았던 이재명 대통령,
핵심 공약인 '에너지고속도로'에 일부 오해가 있다며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지난 5월)]
"(전기를) 서울로 보내는 고속도로 말하는 거야? 이런 오해를 하시는데 그건 아닙니다."
그리고 지난달, 에너지고속도로 공약은 국무총리 주재 회의를 거쳐 급물살을 타게 됐습니다.
[김민석 / 국무총리(지난달 1일)]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전국 어디서나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을 내는 것이고, (중략) 반도체, AI 데이터 센터 등 첨단 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적시에 공급함으로써.."
하지만 정부 계획에 대해 지역에선 우려했던 대로라는 반응이 나옵니다.
전북을 비롯해 지방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 특히 용인 반도체산업단지로 끌어오는 계획이 본격화를 앞두게 됐기 때문입니다.
국민의힘을 제외한 전북 지역 야 6당은 한목소리로 반발하며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전권희 / 진보당 전북도당위원장]
"정권 교체에 앞장섰음에도 불구하고, 전북을 포함한 호남은 다시금 '에너지 식민지'로 전락할 위기에 처해 있다."
실제 이재명 정부의 전력망 확충 계획에서 전북 지역은 직접적인 영향권에 포함됩니다.
전국에 총 3,855km에 달하는 70개의 초고압 송전선이 새로 깔릴 전망인데,
이 가운데 약 30%에 해당하는 선로가 전북을 지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더 거센 불만이 나오는 겁니다.
[오현숙 / 정의당 전북도당위원장]
"공동체 붕괴, 이 모든 고통이 국가 기간사업이라는 이름으로 강요되고 있다. 전북은 전국에서 송전선로 밀집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다."
‘에너지 식민지화’에 대한 야권의 우려와 비판은 이재명 정부와 여당인 민주당을 향하고 있습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수도권 표심을 의식한 전력망 확충 계획 아니냔 날선 주장까지 제기됐습니다.
[정도상 / 조국혁신당 전북도당위원장]
"수도권의 표를 놓치면 민주당이 거대 정당으로서의 위치, 거대 정당으로서의 역할을 놓칠까 싶어서.."
이 밖에 야 6당은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국가 전력망 계획을 백지화하고,
국가균형 발전을 위해 용인 반도체산단 조성 계획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영상취재: 정진우
화면출처: KTV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