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 MBC 자료사진]
◀앵커▶
2036하계올림픽 국내 후보지로 선정된 전북도가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국가 단위로 치르는 FIFA월드컵도 아니고, 서울·경기, 광주·전남, 충청권에 대구까지 아우르는 계획이 올림픽 개최지 요건에 맞느냐는 건데요.
전북도의 불확실한 계획은 물론, 불투명한 추진 방식까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조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한민국을 대표해 2036하계올림픽을 유치할 후보도시로 서울을 꺾고 선정된 전북자치도,
열악한 인프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내세운 승부수는 ‘지방도시 연대’였습니다.
[김관영 / 전북자치도지사(지난 3월, 후보도시 선정 관련 기자회견)]
"(IOC의) 올림픽의 핵심 어젠다 세 가지가 지속 가능성, 비용 효율성, 사회적 영향.. 이 세 가지를 잘 구현하고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지방도시 연대 올림픽이다."
하지만 불과 반년 만에 분산 개최 구상은 변화를 맞았습니다.
경쟁관계였던 서울이 뒤늦게 포함되면서 연대 도시가 10곳으로 늘어난 겁니다.
문제는 이 같은 광범위한 계획이, 전북도의 설명과 달리 IOC의 개최지 요건인 경기장 배치의 ‘압축성’과 충돌한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논란이 확산한 겁니다.
[윤준병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정읍·고창 지역구)]
"서울을 이겼다, 쇼킹한 결과잖아요? (올림픽 유치가) 국정과제에 반영될 걸로 기대했어요. 우리 기대와 달리 안 됐어요. 이제 확인해 보니까 그런 얘기가 있었어요."
윤 의원은 이미 지역 정치권에 공유된 문제였고, 공론화를 했을 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윤준병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정읍·고창 지역구)]
(다른 전북 지역구 국회의원들도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제가 알고 있는 분들은, 제가 공유한 분들은 문제의식을 갖고 있어요.
논란의 배경은 전북도의 불확실한 계획에 있습니다.
국제대회를 유치하려면 정부 심사를 거쳐야 하지만, 기본 서류인 개최 계획서조차 아직 확정하지 못한 상황.
"IOC로부터 자문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요구에 맞춰 계획을 완성해 가고 있다는 두루뭉술한 설명뿐입니다.
특히 IOC와 논의 내용은 ‘비공개 원칙’을 내세워 일절 입을 열지 않고 있습니다.
[유희숙 / 전북자치도 올림픽유치단장]
"계획서는 마지막 순간까지 계속 변화한다고 보시면 되고요. 끊임없이 대화하면서 조정하는 협상조정 과정이라고 봐주시면 돼요."
핵심인 '지방도시 연대’ 구상이 흔들리면서, 전북도의 올림픽 도전은 아직도 작성 중인 개최 계획서부터 완성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는 게 현실입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영상취재: 김종민